
부동산 시장에서 ‘청약’이라는 단어는 누구에게나 익숙합니다. 특히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사회 초년생이나 무주택 실수요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금융 상품이 바로 청약통장입니다. 그리고 어떤 청약 통장에 가입했느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리 혜택기 최대 3% 포인트 차이가 납니다. 은행별로 청약통장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선택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청약통장이란
청약통장은 주택을 분양받기 위한 ‘청약 자격’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예금 상품입니다. 일정한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하면 청약 점수가 쌓이게 되며, 이는 추후 아파트 분양 시 당첨 확률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청약통장의 종류
- 주택청약종합저축 : 정부의 정책 금융 상품으로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 청약 가능하며,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청약예금 / 청약부금 : 시중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상품. 민영주택 청약을 목적으로 지역과 주택 규모에 따라 예치금이 다릅니다.
은행별 청약 예.부금 금리
은행 | 에.부금 금리 |
BNK부산 | 1.8 ~ 1.9 |
BNK경남 | 1.9 |
NH농협 | 1.95 ~ 2.05 |
KB국민 | 2.1 ~ 2.3 |
하나 | 2.1 |
주택청약 종합저축 금리
기간 | 금리 |
1년 미만 | 2.3% |
10년 미만 | 2.3 ~ 3.1% |
청년 | 3.7 ~ 4.5% |
청약 예금 및 부금은 시중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상품 특성상 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조정할 때마다 영향을 받습니다. 금리인하기에는 금리 혜택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주택청약종합주택은 주택도시기금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정부가 고시하는 금리 혜택을 받습니다. 최대 금리 기준으로 하면 시중은행이 제공하는 청약 예금. 부금보다 2~3% 포인트 가량 높습니다.
청약통장은 미래를 위한 전략적인 준비
청약통장은 단순한 통장이 아닙니다. ‘언젠가는 내 집 마련’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면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필수 조건입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청약예금.부금을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청약부금 가입자는 전용면적 85㎡이하 민영주택에만 청약이 가능하지만 전환을 할 경우 공공주택 분양도 노릴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청약예금. 부금으로 가입하셨다면 주택청약종합저축로 전환하여 더 나은 금리로 청약 전략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 금융 혜택 모르면 손해 (2) | 2025.06.17 |
---|---|
국민 재테크 ETF 하반기 주목해야 할 업종 (3) | 2025.06.16 |
이재명 정부 증시부양책으로 보는 투자 전략 (9) | 2025.06.13 |
카드 포인트 현금화 꿀팁 (2) | 2025.06.10 |
6월 분양단지 알아보기 (4) | 2025.06.06 |